본문 바로가기
1. England

헨리 3세(King Henry III)의 왕권을 노린, 시몽 드 몽포르(Simon de Montfort) 1편

by deepedit 2025. 7. 8.
반응형

오늘은 헨리 3세(King Henry III)의 왕권을 노린 헨리 3세 여동생 엘리너(Eleanor)의 남편 시몽 드 몽포르(Simon de Montfort)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영국 레스터의 헤이마켓 기념 시계탑에 있는 몽포르 동상, 출처:wikipedia

 

1208년, 프랑스 몽포르트(Montfort)에서 태어난 시몽 드 몽포르(Simon de Montfort)는 알비주아파(Albigenses)를 토벌한 십자군 지도자였던 시몽 드 몽포르 라마우리(Simon de Montfort l’Amaury)의 아들로, 프랑스 사람으로 성장하였습니다. 성년이 된 그는 장남 아모리(Amaury)에게 가문 영지를 양도하는 대신, 외할머니 아미시아(Amicia)를 통해 물려받을 수 있었던 잉글랜드의 레스터 백작위를 받을 계승권을 얻어 냈습니다. 사실, 외할머니 아미시아는 비몽포르 가문 출신인 로버트 4세(Robert IV) 레스터 백작의 누이였고, 로버트 4세가 자식을 낳지 못한 채 사망해 그의 땅과 작위는 여동생들이였던 아미시아와 마거릿에게 분할 상속되었고, 그 중 백작위는 아미시아가 보유했으며 이를 손자 시몽에게 주게 되었습니다.

 

1229년 잉글랜드에 도착한 시몽은 체스터 백작 란울프(Ranulf de Blondeville, Earl of Chester)의 도움을 받아 레스터 영지를 획득하고 1231년 헨리 3세에게 봉신 서약(Homage and Fealty)을 하였습니다. 란울프 백작은 레스터 백작위의 실질적인 토지 보유자이자 관리자 였고, 백작위을 받으려는 시몽을 위해 도운 정치적 후견인이였습니다.

 

헨리 3세, 출처:wikipedia

 

1238년, 헨리 왕은 자신의 여동생 엘리너(Eleanor)와 시몽의 결혼을 주선했는데, 그녀가 수도원에서 정결 서약을 한 바 있었고 미망인이였기에 귀족들의 동의없이 추진되어 큰 반발을 샀습니다. 그 결과 시몽과 엘리너는 1239년 추방되었고, 시몽은 헨리의 동생 리처드(Richard)와 함께 정치적 환란과 역경을 이겨내고 명예를 회복하여 신앙심을 입증하려 십자군에 참여하였습니다. 이후 예루살렘 왕국의 라틴 귀족들로부터 강직한 성품과 정치적 판단력에 대해 높은 신뢰와 존경을 얻게 되었고, 예루살렘 왕국의 군주와 함께 '부왕으로 모시고 싶다'는 등 귀족의 요청까지 받을 정도로 큰 명성을 쌓았습니다.

 

헨리 3세(Henry III)와 루이 9세(Louis IX)와의 생통주(Saintonge War) 전쟁, 출처:wikipedia

 

귀국 후, 그는 프랑스 왕권을 남부로 확대하는 위협을 느낀 헨리와 프랑스와 생트 전투(Battle of Saintes)에 참여했고, 이 때 헨리 왕의 퇴각을 목숨걸고 엄호하며 군사적 능력과 충성심을 인정받게 되었습니다. 여기서 생트 전투(Battle of Saintes)는 생통주 전쟁(Saintonge War)이라고 불리기도 하며, 뤼지냥 가문(de Lusignan)을 중심으로 푸아투 지역 귀족과 함께 프랑스 루이 9세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킨 뤼지냥 발란(Lusignan Rebellion)도 생트 전투 중 일부였습니다. 

 

생통주 전쟁에서 프랑스 루이 9세( Louis IX)의 모습, 출처:wikipedia

 

헨리 왕은 시몽에게 감사의 표시로 케닐워스 성(Kenilworth Castle)을 하사하였고, 여기서 정치적 기반을 더욱 다지게 되었습니다. 그는 개혁파인 링컨 주교로 활약한 로버트 그로스테스트(Robert Grosseteste) 및 프란체스코회 수도사 아담 드 마리스코(Adam de Marisco)와 교류하게 되었는데, 그들은 사실 부패한 성직자와 왕권의 횡포를 강하게 비판하고, 국왕도 하나님의 법 아래 있어야 한다는 사명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해서 이들은 시몽에게 정치가 단지 권력 투쟁이 아니라 도덕적 책임을 수반한 공공의 봉사라는 인식을 주며 정신적 영향을 크게 받게 되었습니다.

 

영국 케닐워스에 있는 케닐워스 성(Kenilworth Castle), 출처:wikipedia

 

후편에서는 헨리 3세와의 본격적인 갈등과 개혁 운동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