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 England

반란 귀족과 매제에게 빼앗긴 왕권을 되찾은 왕, 헨리 3세(King Henry III of England)의 서사

by deepedit 2025. 7. 4.
반응형

앞서 이야기 중에 자주 등장한 존 왕(King John)의 아들 헨리 3세(King Henry III of England)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고자 합니다.

 

헨리 3세, 출처:wikipedia

 

헨리 3세(Henry III, 1207년 10월 1일 ~ 1272년 11월 16일)는 1216년부터 1272년까지 잉글랜드를 통치한 왕입니다. 그는 1234년부터 1258년까지 약 24년 동안 실질적으로 정권을 장악하였으나, 전통과 관례를 무시하는 통치 방식으로 인해 결국 귀족들의 강력한 저항을 불러일으켰고, 1258년에는 그에 따라 중대한 개혁안인 의회 중심으로 국정을 다스리는 옥스퍼드 조항(Provisions of Oxford)에 서명했으나 귀족들의 분열을 틈타 폐기하고 다시 왕권을 사수하였고, 여동생 엘리너의 남편 '시몽 드 몽포르'에게 왕권을 다시 빼켰으나 아들 에드워드의 역할로 다시 왕권을 회복한 왕입니다. 

 

헨리는 존 왕(King John, 재위 1199~1216)의 장남이자 후계자로, 아버지가 사망했을 당시 나이는 겨우 아홉 살이었습니다. 그때 런던과 잉글랜드 동부 대부분은 반란 귀족들의 손에 넘어가 있었으며, 이들은 프랑스 왕 필리프 2세 오귀스트(Philip II Augustus)의 아들, 루이 왕자(Prince Louis, 후일 루이 8세 Louis VIII)를 영국 왕으로 세우려 하고 있었습니다. 이에 헨리의 섭정을 위해 구성된 섭정평의회는 명망 높은 펨브룩 백작 1대 윌리엄 마셜(William Marshal, 1st Earl of Pembroke)이 주도하였고, 1217년까지 반란군은 진압되었으며 루이 왕자는 잉글랜드에서 철수하게 되었습니니다.

 

잉글랜드 도착한 프랑스 왕자 루이 8세, 출처:wikipedia

 

1219년 윌리엄 마셜이 사망한 후, 후버트 드 버그(Hubert de Burgh)가 국정을 장악했으나, 1232년 헨리에 의해 해임됩니다. 그 이후 프랑스 출신의 야심가 피터 데 로슈(Peter des Roches)와 피터 데 리보(Peter des Rivaux)가 권력을 잡았으나, 1234년 귀족들의 압력으로 두 사람은 축출되었고, 이 시점을 기점으로 헨리의 직접 통치가 시작되었습니니다.

 

헨리 3세는 자선과 예술을 사랑한 교양 있는 군주였지만, 국정 운영 능력은 부족했습니다. 외교와 군사 분야에서는 오만하면서도 비겁했고, 야망은 있었으나 현실성이 결여된 판단을 일삼았습니다. 귀족들과의 갈등은 1237년부터 본격적으로 드러나는데, 이는 헨리가 자신의 사보이(Savoy) 출신 친척들에게 지나친 영향력을 행사하게 했기 때문입니다. 특히, 1238년 여동생 엘리너(Eleanor)와 프랑스계 총애를 받던 젊은 귀족 시몽 드 몽포르(Simon de Montfort, Earl of Leicester)의 결혼은 외국인의 영향력 확대라는 반발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샤르트르 대성당(Chartres Cathedral) 창문에 그려진 시몽 드 몽포르, 출처:wikipedia

 

1242년에는 헨리의 이복 형제들인 뤼지냥 가문(Lusignan) 출신 형제들이 프랑스에서 무리한 전쟁을 일으켜 헨리를 끌어들였고, 이 전쟁은 비용만 크고 결과는 참담했습니다. 이에 귀족들은 왕의 고문을 자신들이 선택할 수 있게 해달라고 요구했으나, 헨리는 이를 계속 거부했습니니다.

 

가장 심각한 실수는 1254년에 발생합니다. 헨리는 교황 인노첸시오 4세(Pope Innocent IV)와 협상을 체결해, 자신의 어린 아들 에드먼드(Edmund)에게 시칠리아(Sicily) 왕위를 부여하는 대가로 교황의 전쟁 자금을 대신 부담하겠다고 약속한 것입니다. 그러나 네 해 뒤 교황 알렉산데르 4세(Pope Alexander IV)는 헨리가 약속한 자금을 지급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파문을 경고하며 압박을 가했고, 헨리는 귀족들에게 세금 지원을 요청하게 됩니다.

 

귀족들은 조건부로 지원에 동의했으며, 그 대가로 획기적인 개혁안인 옥스퍼드 조항(Provisions of Oxford)을 받아내게 됩니다. 이 조항은 15인으로 구성된 비밀 평의회를 설치하여, 왕의 자문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정부 전체를 감시하도록 했습니니다. 하지만 귀족들 사이에서도 분열이 일어나자, 헨리는 이를 기회 삼아 1261년 조항을 폐기하고 왕권을 회복하려 시도합니다.

 

15인 비밀 평의회(The Fifteen Councillors)가 통제한 헨리 3세의 인장, 출처:wikipedia

 

이로 인해 1264년 4월, 시몽 드 몽포르가 본격적으로 반란을 일으켰고, 같은 해 5월 14일 서식스(Sussex)의 루이스 전투(Battle of Lewes)에서 왕과 왕세자 에드워드(Edward)가 생포되는 사태가 발생합니다. 이후 몽포르는 헨리의 이름으로 사실상 잉글랜드를 통치하게 되며, 일시적으로 왕권을 대체합니다.

 

1264년, 시몽 드 몽포르가 일으킨 루이스 전투의 계획도, 출처:wikipedia

 

그러나 1265년 8월, 몽포르는 우스터셔(Worcestershire)의 이브샴 전투(Battle of Evesham)에서 헨리의 아들이자 장성한 왕세자 에드워드에게 패배하고 전사하게 되며, 왕정은 회복됩니다. 이 시기 헨리는 이미 노쇠하고 무력한 상태였으며, 이후 국정은 대부분 에드워드가 주도하게 됩니니다.

 

이브샴 전투에서 왕세자 에드워드에 죽은 시몽 드 몽포르, 출처:wikipedia

 

1272년 헨리 3세가 런던에서 사망하자, 그의 장남 에드워드가 왕위에 올라 에드워드 1세(Edward I)가 되었습니니다.

 

웨스트민스터 사원(Westminster Abbey)에 있는 에드워드 1세 초상화, 출처:wikipedia

 

이처럼 헨리 3세의 통치는 초기에는 귀족들의 협조로 국난을 극복했으나, 이후 독단적이고 외국인에게 의존하는 정치를 고수하면서 왕권에 대한 귀족의 반발을 키웠으며, 이는 결국 잉글랜드 의회의 제도적 발전에 중요한 계기가 되었습니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