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 England

존 왕(King John)의 재무장관, 후버트 드 버그(Hubert de Burgh) 1편

by deepedit 2025. 6. 30.
반응형

이번엔 존 왕의 재무장관이자 이자벨라의 세번째 남편였던 휴버트 드 버그(Hubert de Burgh)의 이야기를 총 4번에 걸쳐 이야기 해 보고자 합니다.

 

후버트 드 버그(Hubert de Burgh), 출처:dover-kent

 

후버트 드 버그(Hubert de Burgh)는 존 왕(King John)의 재무장관(Justiciar)으로, 고위 귀족이 아닌 젠트리(Gentry) 출신의 인물이였습니다. 후버트의 출생이나 그의 가문이 매우 불분명했는데, 1230년경 올턴 교회(Church of Oulton)에 남긴 그의 기증 문서에서 남겨진 글을 보면 "월싱엄(Walsingham)의 교회에 안치된 나의 어머니 앨리스의 영혼을 위하여"라고 적혀있고, 이를 통해 후버트의 가문이 중소 귀족이거나 젠트리 계급에 속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전해집니다.

 

✋잠깐!

한번 더 자세히 다루겠지만, 중세 잉글랜드의 세속 계급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왕(King)
 - 최고의 군주이자 영토 전체의 주권자, 귀족/교회/법/군대를 통제

2. 귀족(Peers or Barons)
 - 왕으로부터 직접 봉토(토지)를 받아 다스리는 봉건 영주를 칭하며, 흔히 공작(Duke), 후작(Marquess), 백작(Earl), 자작(Viscount), 남작(Baron)으로 구성 됨

3. 기사(Knights)
 - 군사 서약을 맺고 봉신으로 봉사하는 하급 귀족
 - 직접 영지를 다스리거나 귀족 가문의 실무를 보며, 부유하거나 토지를 보유 했을 경우 상류 젠트리(Upper Gentry)라고 부르기도 함

4. 젠트리(Gentry)
 - 기사의 하위 계급으로 크게 에스크와이어, 젠틀맨 외 여러 직업으로 분류됩니다.
   + 평민보다 신분이 높은 에스크와이어(Esquire)
   + 귀촉 칭호는 없으나 토지를 소유하고 있는 젠틀맨(Gentleman)
   + 법률가/관리인/교구 성직자 등

5. 자유민(Freeman)
 - 작지만 본이 소유의 토지를 가진 자유민, 요먼(Yeoman)

6. 농민(Villeins/Serfs)
 - 특정 영주에 봉건의무를 지닌 농민, 빌레인(Villein)

7. 하위 농민(Unfree laborers)
 - 가난한 일반 농민, 코터(Cottar)/보더(Bordar)

**성직자
 - 교회의 재산과 정치적 영향력을 대단했으며, 성직자는 크게 대주교, 주교, 수도원장, 사제 등으로 위계가 구성돼 있음.

 

즉 후버트의 태생이나 가문에 대한 정보가 불문명하여 좀더 그와 그의 가족을 살펴봐야 겠습니다.

 

후버트는 헨리 2세(King Henry II)의 막내아들 존(John)이 1185년 아일랜드로 향할 때 동행했던 윌리엄 드 버그(William de Burgh)의 동생이였습니다. 윌리엄은 이후 코너트(Connacht)의 영주가 되었고, 후버트 동생 중 제프리(Geoffrey) 1202년 노리치(Norwich)의 대부(Bishop)로 임명 후 1225년에는 엘리(Ely)의 주교가 되었습니다. 또 다른 동생 토머스(Thomas) 1215~16년 동안 노리치 성(Norwich Castle)의 성장(Castellan, 군사행정 책임자)이였습니다. 후버트의 어린 시절이나 교육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지만, 1220년 솔즈베리 백작 윌리엄 롱스페(William Longespée, Earl of Salisbury)가 후버트에게 보낸 편지에서 "그들이 함께 자랐다"는 언급으로 보아, 동일한 귀족 가문에서 위탁 양육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노퍽(Norfolk)의 버그(Burgh) 영지를 중심으로 한 소규모 지주 가문 출신인 후버트 드 버그는  1198년 존(John)의 궁정 급사장(chamberlain)이 되었고, 1199년 존(King John)이 왕위에 오르자 왕실의 공식 궁정 급사장이 되었습니다. 이 때 당시 궁정 급사장은 단순한 왕의 시중 역할이 아닌 왕실 내 중요한 행정 및 정치 관직이였습니다. 즉, 왕실 재정을 관리하고, 왕의 사적 공간과 일정, 중요 문서와 인장 관리 등 실질적인 권력의 중간 고리로 왕의 가장 가까운 조언자 중 하나였습니다. 즉, 후버트는 존 왕의 시대에서 왕의 의사결정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핵심 인물이였다는 것을 증명하기도 합니다.

 

존 왕(King John), 출처:wikipedia

 

게다가 그의 공직 경력은 빠르게 급성장 했었습니다. 1200 12월에는 도버(Dover)와 윈저(Windsor) 두 왕실 요새의 관리자가 되었고, 1201년에는 도싯(Dorset)과 서머싯(Somerset)의 셰리프가 되었다. 그해 존 왕이 프랑스로 떠나면서, 후버트는 두 명의 국경 백작(earl of Pembroke, constable of Chester)과 함께 웨일스 변경지대(Welsh Marches)의 수호자로 임명되었고, 100명의 기사를 배정받았습니다. 또한 그는 왕실 봉사에서 그를 뒷받침하기 위해 '그로스몬트(Grosmont), 스켄프리스(Skenfrith), 화이트캐슬(Whitecastle) 성을 부여받기도 했습니다.

 

여기서 "그로스몬트(Grosmont), 스켄프리스(Skenfrith), 화이트캐슬(Whitecastle) 성을 부여받았다"의 의미는 존 왕(King John)이 그에게 웨일스 변경지대의 전략적 요새 세 곳을 하사했는데, 이 성들은 국경 방어에 중요한 성채로, 단순한 거주용 성이 아니라 행정·군사적 권한이 함께 주어지는 요새였다고 합니다.  즉, 단순한 보상 이상의 의미가 있다고 하는데, 이는 존 왕(King John)의 치적 신뢰의 표시이자 후버트가 왕의 이름으로 해당 지역을 통치하고 방어할 권한을 받았는다는 의미이기도 했습니다. 즉, 해당 지역의 영주처럼 행동할 수 있는 권한을 위임받은 것이였습니다. 

 

세 성은 모노우 계곡(Monnow Valley)을 따라 삼각형을 이루며 배치되어 있어, 국경 방어 및 왕권 통제를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하며, 세 성(Castle)을 통틀어 "Three Castles of Gwent" 또는 "The Trilateral Castles"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존 왕이 후버트에게 하사한 Three Castles of Gwent 위치, 출처: Celtic Trails

 

반응형